1. 지방족 탄화수소
가. 탄소 화합물
탄소(C)를 기본 골격으로 하여 수소(H), 산소(O), 질소(N), 황(S), 인(P), 할로겐 등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물질
① 19세기 초까지 유기 화합물로 불림.
② 1828년 뵐러(Wöhler, 독일)가 무기화합물을 가열하여 유기 화합물 합성 ☞ 탄소 화합물로 명명
가 열
NH4OCN -------→ (NH2)2CO
(시안산암모늄) ( 요소)
무기화합물 유기화합물
③ 탄소 화합물의 예외: CO, CO2, 탄산염(CO32- 포함), 시안화물(CN- 포함), 시안산염(CNO- 포함) 등 ☞ 무기 화합물로 분류
나. 탄소 화합물의 특성
① 탄소 화합물은 2만 종 이상으로 매우 많다.
② 탄소를 주축으로 한 공유 결합 물질이다. 따라서 분자성 물질을 형성하므로 그 성질은 반 데르 발스 힘, 수소 결합 등에 의해 달라진다.
③ 대부분 무극성 분자들이므로 분자 사이의 인력이 약해 녹는점, 끓는점이 낮고 유기 용매(알코올, 벤젠, 에테르 등)에 잘 녹는다.
④ 대부분 용해되어도 이온화가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비전해질이다.
⑤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반응성이 약하고 반응 속도가 느리다.
⑥ 연소되면 CO2, H2O가 발생한다. 산소없이 가열하면 C가 유리된다.
다. 탄화수소의 분류
① 탄화수소: 탄소와 산소만으로 이루어진 화합물(탄소의 원자가는 항상 4가)
㉠ 포화 탄화수소와 불포화 탄화수소
▶ 포화 탄화수소: 탄소-탄소 사이의 결합이 단일 결합.
▶ 불포화 탄화수소: 탄소-탄소 사이의 결합이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.
☞ 약한 결합인 π결합이 깨지면서 첨가 반응을 할 수 있으면 불포화 탄화수소, 그렇지 않으면 '포화 탄화수소'이다.
㉡ 결합 형태에 따라 사슬 모양 탄화수소, 고리 모양 탄화수소로 구분.
② 탄화수소의 분류
라. 지방족 탄화수소와 방향족 탄화수소
① 지방족 탄화수소: 포화 탄화수소 + 사슬 모양 불포화 탄화수소
② 방향족 탄화수소: 탄소-탄소 결합이 불포화 결합을 이룬 고리 모양의 화합물. 분자내에 벤젠고리를 포함하는 탄화수소.
마. 탄소 화합물의 화학식
① 원소 분석
㉠ 원소분석 : 물질이 어떤 원소로 되어 있는가를 알아내는 실험
㉡ 물 및 이산화탄소의 정량 : 염화칼슘관(수증기 흡수), 소다석회관(이산화탄소 흡수)
② 실험식의 결정
㉠ 실험식 : 물질을 이루는 원자의 종류와 그 원자수를 가장 간단한 정수비(=원자수의 비)로 나타낸 식
㉡ 원자수의 비 : 원소 분석을 통해 얻은 물질의 질량, 또는 질량 조성비(%)를 각 원자량으로 나눈 것들의 정수비.
각 원소의 질량비 원자수 비 = ------------------ 각 원소의 원자량 |
(예) 아세트산의 성분원소의 원자수의 비는 C:H:O = 1:2:1, 실험식= CH2O
③ 분자식의 결정
㉠ 분자식: 분자를 이루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모두 나타낸 식.
㉡ 분자식 구하는 방법(분자량 측정, 또는 조사가 선행됨)
ⓐ 실험식에서 실험식량(=실험식을 구성하는 원자량의 합)을 구한다.
ⓑ 분자식을 구하려는 물질의 분자량으로부터 구한다.
분자량 = 실험식량 × n, n = ? |
예) 아세트산의 분자량이 60 이라면, 60 = (화학식량 30) × n, ∴ n =2
따라서, 구하는 분자식은 CH2O × 2배 = C2H4O2
④ 시성식: 분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작용기(라디칼)가 드러나게 나타낸 식.
예) 아세트산, CH3COOH(카르복시기: 산성을 나타내는 작용기)
⑤ 구조식의 결정
㉠ 구조식 : 분자내의 원자들의 결합 상태를 '원자가'와 같은 수의 결합선으로 나타낸 식.
㉡ 원자가 : 어떤 원소의 원자 1개가 수소 원자 몇 개와 결합 또는 치환될 수 있는가를 표시한 수.
예) HCl에서 Cl(17족)의 원자가= 1가, H2O에서 O(16족)의 원자가= 2가,
NH3에서 N(15족)의 원자가= 3가, CH4에서 C(14족)의 원자가= 4가
가. 알칸(alkane)
① 일반적 성질
㉠ 일반식 : CnH2n+2
㉡ 이 름 : -안(-ane)으로 끝난다.
㉢ 녹는점, 끓는점 : 탄소수가 많을수록(분자량이 커질수록) 분자간의 인력이 커서 녹는점, 끓는점이 높아진다.
㉣ 모든 원자간 결합은 단일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결합각은 109.5o 이다.
㉤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반응하기 어려우나 할로겐 원소와 치환반응을 한다.
㉥ 상온에서의 상태: 메탄-부탄(기체), 펜탄-데칸(액체), 그 외(고체)
이름 |
분자식 |
녹는점(℃) |
끓는점(℃) |
이성질체 수 |
상온에서의 상태 |
메 탄 |
CH4 |
-183 |
-161 |
1 |
기체 |
[참고] 숫자 및 탄소수 세는 법: 그리스어의 셈씨(수사) 이용
수 |
1 |
2 |
3 |
4 |
5 |
6 |
7 |
8 |
9 |
10 |
수를 셀 때 |
mono |
di(bi) |
tri |
tetra |
penta |
hexa |
hepta |
octa |
nona |
deca |
물질 이름 |
metha |
etha |
propa |
buta |
penta |
hexa |
hepta |
octa |
nona |
deca |
② 메탄(CH4)의 분자 구조 : 분자 구조: 정사면체 구조, 결합각 = 109.5o
③ 에탄, 프로판, 부탄의 분자 구조 : 모두 알칸의 동족체. 메탄과 화학적 성질이 비슷. 사면체의 입자 구조
나. 시클로알칸(cycloalkane)
① 일반식 : CnH2n
② 이 름 : 시클로-안(cyclo-ane)으로 끝남
③ 구 조 : 탄소 원자 사이는 단일 결합, 고리 모양 구조
③ 시클로알칸의 동족체
㉠ 시클로프로판(C3H6 ) : 평면 정삼각형 고리 형성(결합각 = 60o). 사슬 모양 탄화수소만큼 안정하지 못해 첨가 반응을 일으켜 안정한 사슬 모양으로 됨.
㉡ 기타 : 시클로부탄 C4H8 , 시클로 펜탄 C5H10
④ 시클로헥산(C6H12 )의 구조 : 두 가지 형태로 존재. 의자(chair) 모양이 배(boat)모양 보다 더 안정함.
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진 탄화 수소. 이중 결합 1개를 가진 것을 알켄(alkene), 삼중 결합 1개를 가진 것은 알킨(alkyne)
가. 알켄(alkene)
① 일반적 성질
㉠ 일반식 : CnH2n , 에틸렌계 탄화수소라고도 함다.
㉡ 이 름 : 어미가 -엔(-ene)으로 끝난다.
n |
분자식 |
시성식 |
이름 |
녹는점(℃) |
끓는점(℃) |
2 |
C2H4 |
CH2=CH2 |
에텐(에틸렌) |
-169 |
-14.0 |
㉢ 결 합 : 탄소 원자 사이에 이중 결합(시그마σ결합 1개와 파이π결합 1개)
㉣ 구 조 : 이중 결합을 하는 탄소 원자 주위의 모든 원자들이 동일 평면상에 존재.
㉤ 반 응 : 약한 파이 결합이 쉽게 끊어져 첨가 반응을 함.
㉥ 검 출 : 브롬(Br2)을 반응시키면 첨가 반응이 일어나 브롬의 적갈색이 없어짐.
에텐(에틸렌) 1,2-디브로모에탄
② 에텐 또는 에틸렌(C2H4)의 분자 구조 : 탄소 원자 사이에 이중 결합을 한 평면 구조(결합각=120°)
나. 알킨(alkyne) 또는 아세틸렌계 탄화수소
① 일반적 성질
㉠ 일반식: CnH2n-2
㉡ 이 름 : 어미가 -인(-yne)으로 끝남. (예) C2H2(에틴), C3H4(프로핀)
n |
분자식 |
시성식 |
이름 |
녹는점(℃) |
끓는점(℃) |
2 |
C2H2 |
CH≡CH2 |
에틴(아세틸렌) |
-81.8 |
-83.6 |
㉢ 결 합 : 탄소 원자 사이에 삼중 결합 1개 존재(시그마 σ 결합 1개와 파이 π 결합 2개)
㉣ 반 응 : 3중 결합 중 1개 또는 2개의 약한 파이 결합이 쉽게 끊어져 첨가 반응을 잘 함.
② 에틴 또는 아세틸렌(C2H2 )의 분자 구조
가. 포화탄화수소의 제법과 성질
① 메탄의 제법 : 천연 가스의 주성분. 실험실에서는 아세트산나트륨과 수산화나트륨을 반응시켜서 얻음
CH3COONa + NaOH -----> Na2CO3 + CH4
② 반응 및 성질
㉠ 천연 가스(LNG)의 주성분,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반응성이 매우 약함
㉡ 햇빛을 쪼이면 할로겐과 치환반응을 함.
.gif)
나. 불포화 탄화수소의 제법과 성질
① 에텐
㉠ 성질 : 달콤한 냄새가 나는 마취성 기체. 물에 녹지 않음
㉡ 제법 : 에탄올에 진한 황산을 넣고 160∼180℃로 가열하면 생성됨
㉢ 반응 : 이중 결합 중 하나가 끓어지면서 C원자에 다른 원자나 원자단이 결합하는 첨가 반응을 잘 함
㉣ 중합 반응 : 분자량이 작은 분자가 연속으로 결합하여 분자량이 큰 분자 하나를 만드는 것을 중합 반응이라고 하며, 에틸렌(CH2=CH2), 프로필렌(CH2=CH-CH3)과 같이 이중 결합을 갖고 있는 화합물이 첨가 반응에 의해 중합되는 것을 첨가 중합이라고 한다.
② 에 틴
㉠ 제법 : 칼슘카바이드(CaC2) 에 물을 가하여 얻음(탈수 반응).
CaC2 + 2H2O ----→ Ca(OH)2 + C2H2
㉡ 성질 : 무색, 무취의 기체(물에 잘 녹지 않음), 산소속에서 탈 때에는 3300℃ 까지의 고온의 불꽃을 냄(산소-아세틸렌 불꽃: 용접에 이용)
㉢ 반응 : 이중 결합보다 첨가 반응을 더 잘하고, 중합 반응도 함
㉣ 금속과 치환 반응을 한다.
치환 반응
H - C ≡ C - H + CuCl2 ----------> Cu-C≡C-Cu + 2HCl
①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: 지방족 탄화수소의 수소 원자가 다른 원자나 원자단으로 치환된 화합물로 치환된 원자나 원자단에 의해 화합물의 성질이 결정됨.
② 작용기 : 탄화수소 유도체가 공통의 성질을 나타내는 원자단.
③ 중요한 작용기와 그 특성
(참고) 알킬기(alkyl) : 알칸(CnH2n+2)에서 H 원자 1개가 빠진 원자단(CnH2n+1)으로, 'R'로 표시.
( 명명법) 알칸의 '-안(-ane)'을 '-일(-yl)'로 바꾸어 부름.
알 칸 |
이 름 |
알킬기 |
이 름 |
알 칸 |
이 름 |
알킬기 |
이 름 |
CH4 |
메 탄 |
CH3 - |
메틸기 |
C4H10 |
부 탄 |
C4H9 - |
부틸기 |
C2H6 |
에 탄 |
C2H5 - |
에틸기 |
C5H12 |
펜 탄 |
C5H11 - |
펜틸기 |
C3H8 |
프로판 |
C3H7 - |
프로필기 |
C6H14 |
헥 산 |
C6H13 - |
헥실기 |
가. 알코올(R-OH) : 사슬 모양 탄화수소의 수소 원자가 히드록시기(-OH)로 치환된 화합물.
① 일반식 : ROH(R=CnH2n+1 -:알킬기)
① 명명법 : 알칸의 이름 끝에 '-올(-ol)'을 붙임.
② 분류
㉠ 분자량에 따른 분류
┌저급 알코올: 분자량이 작은 알코올(상온에서 액체).
└고급 알코올: 분자량이 큰 알코올(상온에서 고체).
㉡ -OH 수에 따른 분류 : 1가, 2가, 3가 알코올
㉢ -OH가 결합한 탄소 원자에 결합된 알킬기의 수에 따른 분류: 1차, 2차, 3차 알코올
③ 알코올의 일반적 성질
㉠ 알코올의 -OH기는 물에 녹아 이온화하지 않으므로 '중성'임(참고: 페놀류의 -OH기는 약산성임).
㉡ 용해성: 물처럼 -OH기가 있어 물(극성 용매)에 용해하나, 탄소수가 많은 알코올일수록 용해도는 작아짐.
㉢ 녹는점과 끓는점: 분자사이의 '수소 결합'을 하기 때문에 같은 탄소수의 탄화수소에 비해 녹는점.끓는점이 높다.
④ 알코올의 반응
㉠ 알칼리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기체 발생시킴.
2ROH + 2M ---> 2ROM + H2
(예) 2C2H5OH + 2Na --→ 2C2H5ONa + H2↑
㉡ 산화 반응
㉢ 에스테르화 반응 : 알코올(R-OH)과 카르복시산(R-COOH)을 진한 황산을 촉매로 하여 반응시키면, 알코올의 H와 카르복시산의 OH가 물(H2O)로 되어 떨어지는 축합 반응.
에스테르화 |
(예) C 2H5OH + CH3COOH CH3COOC2H5 + H2O
㉣ 탈수 반응: 에탄올을 진한 황산과 함께 가열하면, 온도에 따라 에틸렌과 에테르가 생성됨.
㉤ 요오드포름 반응: 에탄올에 요오드와 KOH 수용액의 혼합액을 가할 때 요오드포름(CHI3)의 노란색 앙금이 생기는 반응. 에탄올 검출에 이용
KOH + I2
C 2H5OH(에탄올) --------→ 요오드포름(CHI3)의 노란색 앙금
[참고] 요오드포름 반응 물질: 분자내에 CH3CO- 가 들어 있는 분자들이 요오드포름 반응을 함, CH3CH2OH(에탄올), CH3CHO(아세트알데히드), (CH3)2CHOH(iso-프로판올), CH3COCH3(아세톤) 등. CH3COOH(아세트산)은 요오드포름 반응을 하지 않음.
나. 에테르(R-O-R')
: 알코올 R-OH의 수소 원자가 다른 알킬기 R'로 치환된 화합물.
(예) CH3-O-CH3(디메틸에테르), CH3-O-C2H5(에틸메틸에테르), C 2H 5-O-C2H5(디에틸에테르) 등.
① 제법: 에탄올에 진한 황산을 넣고, 130∼140℃로 가열하여 얻음.
② 성질
㉠ 휘발성, 마취성, 인화성이 큰 액체.
㉡ 물에 녹지 않으며, 유기 화합물을 잘 녹이는 유기 용매임.
㉢ -OH가 없어 금속 Na과 반응하지 않음.
㉣ 반응성이 작다.
㉤ 탄소수가 같은 알코올과 작용기 이성질체 관계임.
(예) C2H6O -> CH3OCH3 , C2H5OH
C 3H8O -> CH3OC2H5 , C3H7OH , CH3CH(OH)CH3
다. 알데히드(R-CHO)
: 사슬 모양 탄화수소의 수소 원자 1개가 포르밀기(-CHO)로 치환된 화합물.
알칸(alkane)의 어미 '-e'를 '-al(-알)'로 바꾸어 부르거나, 관용명으로 이름뒤에 알데히드를 붙임.
시 성 식 |
만국명(IUPAC 명명법) |
관 용 명 |
끓는점(℃) |
HCHO |
메탄알(methanal) |
포름알데히드 |
- 21.0 |
CH3CHO |
에탄알(ethanal) |
아세트알데히드 |
20.0 |
CH3CH2CHO |
프로판알(propanal) |
프로피온알데히드 |
48.8 |
① 일반적 성질
㉠ 제법 : 1차 알코올을 산화시켜 얻음.
산화(+O)
R-CHO -----------→ R-COOH
(알데히드) (카르복시산)
㉡ -CHO 는 산화되어 카르복시기(-COOH)로 되려는 성질이 커서 환원력이 매우 큼.
㉢ 은거울 반응: 알데히드에 암모니아성 질산은 용액을 가하면 은거울 생성되는 반응(Ag+ + e- --→Ag)
R-CHO + 2Ag(NO3)2OH --→ R-COOH + 2Ag+↓ + 4NH3 + H2O
(암모니아성 질산은 용액) (카르복시산) 은 석출(은거울 형성)
㉣ 펠링 반응: 펠링용액에 알데히드를 가하면 붉은색의 산화구리(I) 침전이 생성되는 반응.
③ 포름알데히드(HCHO)
㉠ 제법: 메탄올(1차 알코올)을 CuO로 산화시켜 얻음.
㉡ 성질: 무색의 자극성(매운 냄새) 기체. 산화되면 포름산이 되며, 환원되면 메탄올이 됨. 30∼40% 수용액을 포르말린이라 함.
㉢ 용도: 합성 수지 및 접착제의 원료, 소독제, 살균제, 방부제.
④ 아세트알데히드(CH3CHO)
㉠ 제법: 아세틸렌에 황산수은(Hg2SO4)을 촉매로 물을 첨가 반응시켜 얻음.
Hg 2SO4
H -- C ≡C -- H + H2O -------→ CH3CHO
㉡ 성질: 무색, 악취의 액체. 산화되면 아세트산이 되고, 환원되면 에탄올이 됨. 또, 요오드포름 반응을 함.
㉢ 용도: 아세트산, 에탄올의 제조 원료.
다. 케톤(R-CO-R')
① 케톤: 알데히드 R-CHO의 H가 알킬기 R'로 치환된 화합물.
시 성 식 |
이 름 |
시 성 식 |
이 름 |
시 성 식 |
이 름 |
CH3COCH 3 |
디메틸케톤 |
CH3COC 2H5 |
에틸메틸케톤 |
C2H5COC 2H5 |
디에틸케톤 |
② 제법: 2차 알코올을 산화시켜 만듦.
산화(-H 2 )
예) CH3 -- CH -- CH3 ---------→ CH3 -- C -- CH3
| ||
OH O
(iso-프로필알코올) (아세톤, 또는 디메틸케톤)
③ 성질
㉠ 향기가 있는 무색의 액체로 물에 잘 녹음.
㉡ 물이나 알코올에 어떠한 비율로도 잘 섞이는 극성 용매임.
㉢ 요오드포름(CHI3) 반응을 함.
㉣ 탄소수가 같은 알데히드와 작용기 이성질체 관계임.
예)CH3COCH 3와 C2H5CHO(분자식=C3H6O), CH3COC2H5와 C3H7CHO 또는
CH3CH(CHO)CH 3(분자식=C4H8O)
라. 카르복시산
: 탄화수소의 수소 원자가 카르복시기(-COOH)로 치환된 화합물.
카르복시산의 알킬기가 사슬 모양 탄화수소일 때, 특히 지방산이라 함.
이름은 알칸 뒤에 산을 붙여 부른다.
시 성 식 |
이 름 |
녹는점(℃) |
끓는점(℃) |
HCOOH |
메탄산(포름산) |
8 |
100.6 |
① 일반적 성질
㉠ 제법: 알데히드를 산화시켜 얻음.
산화(+O)
RCHO --------→ RCOOH
(알데히드) (카르복시산)
㉡ 물에 녹아 약한 산성을 나타냄(RCOOH RCOO- + H+)
㉢ 산 촉매하에서 알코올과 축합 반응을 하여 에스테르를 생성
(예) C2H5OH + CH3COOH ↔CH3COOC2H5 + H2O
② 포름산(HCOOH)
㉠ 무색의 자극성 냄새가 나는 액체. 개미나 곤충속에 들어 있음(=개미산)
㉡ 분자내에 포르밀기(-CHO)와 카르복시기(-COOH)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, 산성과 환원성을 동시에 나타냄. 은거울 반응, 펠링 반응을 한다.
③ 아세트산(CH3COOH)
㉠ 제법 : 알코올을 초산 발효시켜 얻음
초산균
C 2H5OH + O2 -----→ CH3COOH + H2O
㉡ 성질 : 무색, 자극성 액체. 순수한 것은 녹는점이 17℃이다. (얼은 아세트산을 빙초산이라고 함)
㉢ 용도 : 용매로 많이 쓰이고, 의약품과 합성 수지의 원료.
마. 에스테르(R-COO-R')
① 카르복시산(R-COOH)에서 -COOH기의 H 원자가 알킬기로 치환된 화합물. 카르복시산의 이름 뒤에 알킬기의 이름을 붙여 부른다.
예) CH3COOC2H5(아세트산에틸, 사과향), CH3COOC5H11(아세트산이소아밀, 바나나향)
② 제법: 산을 촉매로 하여 카르복시산과 알코올을 축합 반응시켜 얻음 ☞ 에스테르화 반응
에스테르화
R-COOH + HOR` RCOOR` + H2O
가수 분해
③ 가수분해 : 에스테르가 가수분해되면 다시 카르복시산과 알코올이 됨
④ 성질
㉠ 저급 에스테르는 과일 향기가 있는 액체, 고급은 고체임.
시 성 식 |
이 름 |
녹는점(℃) |
CH3COOC2H5 |
아세트산에틸 |
사 과 |
㉡ 물에 녹지 않으나, NaOH와 함께 끓이면 녹으며 가수 분해됨(=비누화).
㉢ 수소 결합을 하지 않기 때문에 분자량이 비슷한 카르복시산이나 알코올에 비해 녹는점, 끓는점이 낮다.
㉣ 카르복시산과 작용기 이성질체의 관계가 있다.
바. 유지와 비누
① 유지 (RCOO)3C3H5 : 탄소수가 많은 고급 지방산과 3가 알코올인 글리세롤이 에스테르화 반응하여 생긴 화합물(에스테르).
② 비누화 반응 : 에스테르에 NaOH, KOH 등과 같은 강한 염기를 가하고 가열했을 때 지방산의 염과 알코올로 분해되는 반응.
RCOOR' + NaOH -----→ RCOONa + R'OH
(유지) (비누) (알코올)
[보충학습] 합성 세제 : 비누는 센물(Ca2+, Mg2+이 들어있는 물)에서 사용할 수 없고, 그 수용액이 염기성이기 때문에 염기에 약한 동물성 섬유의 세탁에는 적합하지 못한 비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합성 세제(중성 세제) 이다.
사. 아민과 아미노산
① 아민 : 암모니아(NH3)의 수소 원자가 알킬기(R-, CnH2n+1-)로 치환된 화합물.
㉠ 치환된 알킬기의 수에 따라 1, 2, 3차 아민으로 구분.
㉡ 생선 냄새와 비슷한 불쾌한 냄새를 가짐
㉢ 염기성을 나타내는 아미노기(-NH2)를 가지므로 산과 반응함
② 아미노산 : 카르복시기(-COOH)와 아미노기(-NH2 )를 동시에 갖는 화합물. 양쪽성 물질.
㉠ α-아미노산 : 한 탄소 원자에 -COOH와 -NH2 가 함께 결합되어 있는 아미노산
㉡ α-아미노산의 종류 :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면 α-아미노산이 얻어지는데 알킬기에 따라 20 여 종이 존재.
㉢ 쌍극성 이온 : 아미노산의 -COOH는 H+ 을 내놓고. -NH2 는 H+ 을 받아들여서 (+)전하와 (-)전하를 함께 가진 이온
㉣ 이성질체 : 알라닌과 같이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미노산은 광학 이성질체를 가짐
① 이성질체(isomer): 분자식은 같지만 성질이 다른 화합물
㉠ 구조 이성질체 : 분자식은 서로 같지만 구조식이 달라 성질이 다른 물질.
탄소의 구조에 따라 노르말(n-), 이소(iso-), 네오(neo-)를 이름 앞에 붙인다.
※ 녹는점, 끓는점 변화 : 탄소수가 많을수록 높으며, 탄소수가 같으면 n- > iso- > neo- 순.
② 기하 이성질체 : 분자내의 같은 원자나 원자단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로 생기는 이성질체.
㉠ 시스(cis)형: 이중 결합을 사이에 두고 같은 종류의 원자나 원자단이 같은 쪽에 위치
㉡ 트란스(trans)형: 이중 결합을 사이에 두고 같은 종류의 원자나 원자단이 반대쪽에 위치.
☞ Ⅲ은 I, Ⅱ에 대해 기하 이성질체가 아니고, 구조 이성질체임.
③ 광학 이성질체 :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 서로 거울상이 되지만 겹쳐질 수 없는 이성질체.
㉠ 우회전성(d형) : 편광의 진동면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광학 이성질체
㉡ 좌회전성(l형) : 편광의 진동면을 왼쪽으로 회전시키는 광학 이성질체
㉢ 라세미 혼합물 : d형 이성질체와 l형 이성질체를 같은 양으로 혼합한 혼합물. → 선광성(편광면을 따라 회전하는 성질)이 없다.
- 분자 내에 벤젠 고리를 포함한, 냄새가 나는(방향성이 있는) 화합물.
가. 벤젠의 구조
: 1865년 케쿨레(kekule, A)가 제안. ⇒ 6개의 탄소 원자가 육각형의 고리 모양을 이루고, 이중 결합과 단일 결합이 하나씩 걸러서 있는 구조.
⇒ 벤젠의 탄소 원자간 길이가 0.140 nm로 단일 결합과 이중 결합의 중간 정도이고, 모든 탄소 원자간 결합 길이가 동일한 이유는?
-"벤젠의 실제 구조가 아래 그림 ㈎와 ㈏의 동등한 두 구조가 공명(resonance)을 한 구조이기 때문에"
# 위의 (다), 또는 (라) 구조에서
① C(탄소) 원자 = 각 꼭지점에 위치함
② 각 꼭지점에 결합된 수소 원자수 = ( 4 - 결합선 총수 ) 결국, (가)와 (다), (나)와 (라) 구조는 서로 동일함.
나. 벤젠의 제법과 성질
① 석유를 백금 촉매로 리포밍(reforming)하여 얻는다.
② 에틴(C2H2) 3분자를 첨가 중합하여 얻는다.
③ 독특한 냄새가 나는 무색, 휘발성 액체(b.p.80.13℃)로, 인화성이 강하다.
④ 물에 녹지 않고 알코올, 에테르, 아세톤 등에 잘 녹으며, 유기 물질을 잘 녹인다.
⑤ H보다 C가 상대적으로 많아 연소할 때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므로, 공기중에서 연소시 많은 그을음을 내면서 탄다.
2C6H 6 + 15O2 -----→ 12CO2 + 6H2O
다. 벤젠의 반응
: 벤젠은 불포화 탄화수소이지만 공명 혼성 구조로 안정하기 때문에 첨가 반응보다 치환 반응이 잘 일어난다.
① 벤젠의 치환 반응
㉠ 할로겐화 (halogenation) : 철 촉매 존재하에서 염소와 반응
㉡ 니트로화(nitration) : 진한 황산과 진한 질산을 가해 가열하면 니트로벤젠을 얻음.
㉢ 술폰화(sulfonation): 발연 황산(진한 황산)과 반응하여 벤젠술폰산을 얻음.
㉣ 알킬화(alkylation) : 무수염화알루미늄(AlCl3) 촉매하에서 할로겐화알킬(RX)을 작용시키면, 알킬기가 치환되어 알킨벤젠이 됨.
② 벤젠의 첨가 반응 : 첨가 반응은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특수한 촉매를 사용. 첨가 반응후 생성된 물질은 방향족 화합물이 아니다.
㉠ 염소 첨가 : 햇빛 존재하에서 염소를 반응시키면 BHC(benzenhexachloride)가 됨.
㉡ 수소 첨가 : 니켈 촉매하에서 수소를 반응시키면 시클로헥산이 됨.
가. 톨루엔(C6H5CH3)
: 벤젠의 수소 원자 1개가 메틸기(-CH3)로 치환된 화합물
① 알킬화 반응(프리델-크라프츠 반응)에 의해 얻음.
② 진한 황산과 진한 질산의 혼합 산을 반응시키면 니트로기 3개가 치환되어 TNT(trinitrotoluene)가 생김.
③ 톨루엔의 치환 반응: 핵치환과 측쇄 치환(치환체의 종류: 총 4개가 생성됨)
나. 크실렌 C6H4(CH3)2
: 콜타르를 분류할 때 얻을 수 있으며, 벤젠의 수소 원자 2개가 2개의 메틸기로 치환된 화합물.
⇒ 치환기의 위치에 따라 오르토 (o-, ortho), 메타(m-, meta), 파라(p-, para)의 세가지 이성질체가 있음.
다. 나프탈렌(C10H8)
: 벤젠 고리가 2개 붙은 모양의 방향족 탄화수소로 흰색의 승화성 및 방충성이 있는 고체.
⇒ 나프탈렌의 수소 원자 1개가 다른 원자나 원자단으로 치환되면 알파(α-), 베타(β-)의 두 가지 이성질체가 있음.
라. 안트라센(C14H10)
: 벤젠 고리가 3개 붙은 모양의 방향족 탄화수소로 승화성이 있는 엷은 푸른색의 판상 결정.
⇒ 안트라센의 수소 원자 1개가 다른 원자나 원자단으로 치환되면 알파(α-), 베타(β-), 감마(γ-)의 세 가지 이성질체가 있음.
: 벤젠 고리에 있는 H의 일부가 다른 원자나 원자단으로 치환된 화합물.
가. 페놀류
: 방향족 탄화수소의 벤젠 고리에 있는 수소 원자가 히드록시기(-OH)가 치환된 화합물.
⇒ 이온화하여 약한 산성을 띠므로 벤젠 고리에 직접 붙은 히드록시기를 '페놀성 히드록시기'라고 함.
① 페놀류의 성질
㉠ 페놀성 히드록시기 때문에 수용액은 약한 산성. 염기와 중화반응을 함.
㉡ 카르복시산과 에스테르화 반응을 함.
㉢ 검출 방법: 염화철(III) (FeCl3) 수용액과 반응하여 적자색의 정색 반응을 함.
② 페놀(C6H5OH)
㉠ 물에 조금 녹아 약한 산성을 나타낸다
㉡ 카르복시산과 에스테르화 반응을 함.
에스테르화
CH3COOH + C6H5OH ------------->CH3COOC6H5 + H2O
㉢ NaOH와 중화반응하여 염을 생성.
㉣ 검출 방법 : 염화철(Ⅲ) (FeCl3) 수용액과 반응하여 적자색의 정색 반응을 함.
㉤ 용도: 페놀 수지, 의약품, 염료의 원료.
③ 크레졸 (C6H4(OH)CH3
㉠ 벤젠 고리의 수소 원자 2개가 각각 -OH와 -CH3로 치환된 화합물.
⇒ 치환기의 위치에 따라 o-, m-, p-의 세 가지 이성질체가 있음.
㉡ 페놀보다 독성이 적고 살균력이 강해 소독약으로 널리 쓰임.
나. 방향족 카르복시산
: 방향족 탄화수소의 벤젠 고리에 있는 수소 원자가 카르복시기(-COOH)로 치환된 화합물
① 벤조산(C6H5COOH)
㉠ 무색의 얇은 판상 결정(m.p. 121℃)으로 물에 녹아 강한 산성을 나타낸다.
㉡ 살균 작용, 염료, 의약품 및 식품의 방부제로 쓰임.
㉢ 제법 : 톨루엔을 산화시켜 얻음
② 살리실산 C6H4(OH)COOH : 백색의 바늘 모양 결정(m.p. 159℃)으로, 벤젠핵에 -OH기와 -COOH기가 이웃하여 붙은 화합물.
㉠ 페놀성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서 염화철(III) 용액에 의해 적자색의 정색 반응을 함
㉡ 산성을 나타냄.
㉢ 알코올이나 카르복시산과 모두 에스테르화 반응을 함.
ⓐ 아세트산 무수물이나 아세트산과 반응하면 아세틸살리실산(아스피린: 해열제)을 얻음.
ⓑ 메탄올과 반응하면 살리실산메틸(진통제)을 얻음.
다.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
: 벤젠 고리의 몇 개의 수소 원자 대신 니트로기(-NO2)가 존재하는 화합물.
① 니트로벤젠 (C6H5NO2): 담황색의 기름 모양의 액체(b.p. 220.9℃)로, 아닐린의 원료.
② 트리니트로톨루엔(TNT) (C6H2(CH3)(NO 2)3 : 톨루엔에 진한 질산과 황산을 작용시켜 만들며, 노란색 결정으로 폭약으로 쓰임.
라. 방향족 아민류
: 암모니아(NH3)의 수소 원자 일부 또는 전부가 페닐기(-C6H5)로 치환된 화합물. 수용액은 염기성
① 아민(amines) : 암모니아의 수소 원자가 알킬기나 페닐기(-C6H5)로 치환된 화합물. 수용액은 염기성
② 아닐린(aniline, C6H5NH2) : 무색의 액체, 물에 녹지 않으나 약한 염기로 작용함.
㉠ 제법 : 니트로벤젠을 환원시켜 만듬.
㉡ 성질
ⓐ 염산과 반응하여 염산아닐린이라는 염을 만듦. 물에 잘 녹음
ⓑ 아세트산을 가하고 가열하거나 아세트산 무수물을 반응시키면 아세트아닐리드(진통제)가 됨.
㉢ 용도 : 의약품, 노란색 물감의 제조 원료.
가. 고분자 화합물
① 고분자 화합물의 성질 : 분자량이 10,000 이상 되는 화합물.
② 일반적으로 용매에 녹기 어렵고, 용매에 녹으면 콜로이드 상태가 됨.
③ 열.전기 및 공기 등에 대해 화학적으로 안정하고, 점성이 크다.
④ 녹는점이 뚜렷하지 않아서 분리하거나 정제하기 어렵다.
⑤ 가열하면 기화하기 전에 분해된다.
나. 천연 고분자 화합물
① 탄수화물 : 식물의 체내에서 합성되는 포도당, 설탕, 녹말, 셀룰로오스 등과 같이 Cm(H2 O)n 의 일반식을 갖는 물질
구분 |
분자식 |
이 름 |
가수분해 생성물 |
환원 작용 |
수용성 |
단맛 |
단당류 |
C6H12O 6 |
포도당 |
가수 분해되지 |
있다. |
녹는다. |
있다. |
이당류 |
C12H22O 11 |
설 탕 |
포도당 + 과당 |
없다. |
녹는다. |
있다. |
다당류 |
(C6H10O 5)n |
녹말(전분) |
α 포도당 |
없다. |
잘 녹지 |
없다. |
㉠ 포도당(C6H12O6) : α-포도당과 β-포도당 두 종류가 있으며, 환원성을 가진다.
㉡ 녹말 (C6H12O6)n
ⓐ 녹색 식물이 저장하고 있는 탄수화물로,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두 성분으로 구성된 α-포도당의 축합 중합체이다.
ⓑ 가수 분해하면 α-포도당이 된다.
ⓒ 요오드 녹말 반응 : 녹말에 요오드를 가하면 보라색으로 변하는 것. 녹말 검출에 이용
㉢ 셀룰로오스(C6H10O 5) : 식물의 세포막을 이루는 주성분. 물에 녹지 않는 백색 섬유상 물질.
② 아미노산과 단백질
㉠ 아미노산 : 한 분자 속에 아미노기(-NH2, 염기성)와 카르복시기(-COOH, 산성)를 모두 갖고 있는 양쪽성 물질.
㉡ 단백질 : C, H, O, N 등의 원소를 포함한 고분자 화합물
ⓐ 단백질의 구조 : 아미노산의 아미노기(-NH2)와 카르복시기(-COOH) 사이에서 물 분자가 빠지는 축합반응 생성물(중합체).
ⓑ 펩티드 결합(- C - N -), 또는 아미드 결합
ⓒ 나선형 구조
ⓓ 묽은 산이나 염기를 촉매로 가수 분해하면 다시 아미노산이 됨
ⓔ 열이나 산 및 알코올에 의해 변성(펩티드 결합이 끊어져 분자구조가 바뀜)됨
ⓕ 단백질 검출 반응
1. 뷰렛 반응 : 수산화나트륨과 황산구리 수용액 혼합액 첨가 => 보라색 또는 붉은색으로 변함
2. 크산토르로테인 반응 : 진한 질산 첨가 =>노란색 앙금, 다시 수산화암모늄 가하면 오랜지색
3. 닌히드린 반응 : 닌히드린 첨가 => 푸른색
4. 밀론 반응 : 밀론 시약 첨가 후 가열 => 붉은 보라색 침전 생성
5. 황 반응 : 아세트산납 수용액 첨가,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첨가 후 끓이면 PbS의 검은색 침전 생성
다. 합성 고분자 화합물
① 단위체와 중합체
㉠ 단위체(monomer) : 고분자 화합물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가 되는 물질
㉡ 중합체(polymer) : 단위체가 중합하여 이루는 고분자 화합물
② 첨가 중합 : 단위체의 이중 결합이 끊어지면서 중합.
㉠ 이중 결합이 1개 있는 단위체의 결중합
㉡ 이중 결합이 2개 있는 단위체의 중합
㉢ 천연 고무 : 이소프렌의 첨가 중합체. 건류시키면 이소프렌이 얻어진다.
③ 축합 중합 : 물(H2O) 분자와 같은 간단한 분자가 떨어져나가면서 중합.
두 가지 이상의 단위체가 축합하면서 생성된 중합체로, 펩티드 결합, 에스테르, 메틸렌결합을 한 것이 많다.
④ 혼성 중합 : 종류가 다른 2개의 단위체가 교대로 첨가중합.
㉠ 부나-S 고무 : 부타디엔 + 스티렌
㉡ 부나-N 고무(부타디엔 + 아크릴로니트릴)
라. 합성 고분자 화합물의 종류
① 합성 수지(플라스틱)
㉠ 열가소성 수지: 열에 의해 변형이 가능(=사슬모양 구조), 첨가 중합 반응으로 생성.
(예) 폴리염화비닐(P.V.C), 폴리아세트산비닐(P.V.A), 폴리스티렌, 폴리에틸렌
㉡ 열경화성 수지: 열에 의해 변형이 불가능(=그물 구조), 축합 중합 반응으로 생성.
(예)요소수지, 페놀수지
② 합성 섬유
㉠ 폴리아미드계 섬유 : 축합 중합 반응으로 생성(= 펩티드 결합).
(예) 나일론 6.6(헥사메틸렌디아민 + 아디프산): 1935년 (美) 캐러더스(화학 약품에는 강하나 땀을 빨아들이지 못하고 정전기가 생겨 때가 잘 묻는 결점 가짐)
㉡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: 축합 중합 반응으로 생성(= 에스테르 결합).
(예) 테트론(테레프탈산 + 에틸렌글리콜): 잘 구겨지지 않으므로 와이셔츠, 블라우스 등에 이용
㉢ 폴리비닐계 섬유 : 첨가 중합 반응으로 생성.
(예) 폴리아크릴로니트릴(올론)
③ 합성 고무: 공중합 반응(예: 부나-S 고무, 부나-N 고무)과 첨가중합 반응(예: 네오프렌 고무)으로 생성.
(예) 부나-S 고무(부타디엔 + 스티렌)
부나-N 고무(부타디엔 + 아크릴로니트릴)
네오프렌 고무(클로로프렌 →네오프렌 고무)
'화학 공부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학2 : IV-2. 용액 (0) | 2011.07.13 |
---|---|
화학2 : IV-1. 기체 액체 고체 (0) | 2011.07.13 |
화학2 : III-2. 공유 결합과 분자 (0) | 2011.07.13 |
화학2 : III-1. 화학 결합의 종류 (0) | 2011.07.13 |
화학2 : II-3. 원소의 주기적 성질 (0) | 2011.07.13 |